핫이슈 정보 ::

시베리아 좀비바이러스 4만년 만에 다시 부활하는 예도마 바이러스

파란제주 2022. 12. 4. 13:15
반응형

 

바이러스 이미지

4만년 만에 부활 하는 좀비바이러스

지구 온난화로 시베리아 영구 동토가 녹으면서 수만 년간 얼음 속에

갇혀 있던 병원체가 전염력을 그대로 유지한 채 밖으로 나올 수 있다는 분석이 나왔다.

 

4일 워싱턴포스트는 프랑스, 러시아, 독일 연구진으로 구성된 팀이

이러한 내용을 담은 논문 ‘고대 영구 동토층에서 부활한 진핵생물 바이러스에

대한 최신 정보’를 의학 논문 사전 등록 사이트 ‘바이오 아카이브’에 게재했다고 보도했다.

 

토양과 강은 물론 무려 2만7천 년 전 죽은 시베리아 늑대의 창자에서도

발견된 이 바이러스들은 아직 충분한 전염력을 갖추고 있는

상태라고 연구진은 설명하며 이 같은 재활성화 속성을 들어

이 바이러스들을 '좀비 바이러스'로 칭했다.

우선 이번에 연구된 바이러스는 아메바에만 전염성을 보이는 것으로 드러났다.

바이러스 이미지


학자들은 코로나19 병원체 같은 다른 부류의 바이러스는 이번에 발견된

바이러스보다 취약해 저온을 견딜 가능성이 작다고 진단했지만,

인간을 비롯한 동물에 전염될 수 있는 바이러스가 지상으로 노출될

가능성을 아예 배제할 수는 없다고 연구진은 우려하고 있다.


특히 학자들은 얼어붙은 동물 내에 잠복하다 노출되는 바이러스의 위험성에 주목하고 있다.

실제 2016년 러시아 북시베리아에서는 폭염으로 영구 동토가 녹으면서

사슴 사체가 노출되는 일이 있었는데

이와 접촉한 어린이 1명이 탄저병에 걸려 숨지고 성인 7명이 감염된 바 있다.

이 지역에서 탄저병이 발생한 것은 1941년 이후 처음이었다.

좀비 바이러스는 아메바를 미끼로 삼아 바이러스를 찾아냈다.

아메바 배양액에 영구동토층 시료를 넣어두고 아메바의 감염 여부를 확인하는 방식이다.

연구진은 9종의 바이러스는 모두 세포를 감염시킬 수 있는 능력을 갖고 있다고 밝혔다.

이는 영구동토층의 얼음이 녹을 경우 지구상의 식물과 동물에 위협이 될 수 있다는 걸 뜻한다.

 

이번에 발견된 바이러스 중 4만8500년 전의 것은 동시베리아의 야쿠티아에

있는 한 호수 바닥 16미터 아래 영구동토층에서 발견한 것으로 크기가

1마이크로미터에 이르는 거대 바이러스다.

인플루엔자 바이러스의 약 10배 크기다.

연구진은 이 바이러스에 ‘판도라바이러스 예도마’라는 이름을 붙였다.

연구진이 지금까지 되살린 9종의 바이러스는 모두 아메바 같은

단세포 유기체를 감염시키는 거대 바이러스군에 속한다.

 


탄저균이란??

탄저균은 탄저병의 원인이 되는 세균으로, 바실루스(간균)속에 속하는 대표적인 세균이다.

 

간균속에 속한 세균들 중 유일한 숙주가 없으면 생존이 불가능한 세균으로

만약 영양이 부족하여 생존이 불가능할 때에는 아포(spore) 상태로

전환하여 장기간 생존할 수 있게 된다.

 

이런 아포 상태의 탄저균을 정제하여 편지 등에 같이 딸려 보내면

아무 생각 없이 편지를 뜯은 사람은 그대로 이걸 흡입하게 될 수밖에 없다.

이 위험성 때문에 생화학 무기, 테러의 수단으로 사용하는 것이다.